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544

Machine learning and types "Machine learning is field of study that gives computers the ability to learn about being explicitly programmed.", Arthur Samuel(1959) Machine Learning - Supervised learning(x input --> y labeld output) - Regression : predicting many possible numbs - Classification : predicting a few numbers like categories - Un-supervised learning(x input but no right answers y) - Clustering - Anomaly detection.. 2023. 12. 5.
Understanding the Plain Option in Sequelize 2023-07-26 What is Plain option in Sequelize When working with Sequelize, there's a convenient method called get({ plain: true }) that allows you to retrieve a simple object instead of a complex entity. This can make your code cleaner and more straightforward. How to Use It To implement this feature, just add get({ plain: true }) immediately after using the 'find' method that would r.. 2023. 12. 5.
find() vs. filter() considering semantics 2023-07-26 Introduction Imagine you're a JavaScript developer trying to write code that finds a specific item within an array. In the world of JavaScript, there are a few ways to search through arrays, and two popular methods are filter() and find(). But which one is better for your task? That's what we'll explore in this article. Reasons to use find() When your goal is to get just one result, u.. 2023. 12. 5.
이건희 회장의 일 철학 영감이 되는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리하면,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하고, 일의 본질이 무엇인가 일을 탑 다운, 바텀 업 중 어떤 방식으로 파악할 것인가 일의 우선순위 사실(데이터)와 정보(인포메이션)의 차이는 관점 유무. ex)환율 증감 = 데이터, 환율 증감 추이 고려해 환차익 극대화 방법 = 정보 이건희라는 사람은 기업인 보다는 사상가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업의 본질에 대한 언급은 피터드러커가 강조한 내용과 결이 비슷하기도 하구요. 그런데 궁금한 점은 왜 목적 파악을 본질 파악보다 우선했을까요. 본질은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변수인걸까요. 아니면 목적에 맞는 결정을 할 때 본질을 잊지 않기 위함일까요 --- 나는 일하고 챙기는 데 내 나름의 몇 가지 원칙과 습관이 있다. 먼저 목적을 명확히.. 2023. 12.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