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레디스를 사용하는 방법은 환경에 따라 2가지 나뉘는데 하나는 1)로컬 그리고 2)클라우드다. 클라우드 또한 레디스를 호스팅 서비스가 다양한데, aws의 elastic cache나 Redislabs 등이 있다. 전자는 편하지만 후자는 30mb까지 무료다. 정리하자면 이렇다.
Redis 사용방법
- local
- cloud
- AWS elastic cache
- Redislabs : 30mb 무료
Redis 회원가입
회원가입, 로그인 후 클라우드 벤더 선택하기.
DB가 생성되는데, DB 사용 시 레디스 호스트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정보는 3개다
- redis host
- port
- password
설치 Linux
$ apt-get install redis-tools # redis cli 설치
$ redis-cli -v # 설치 버젼 확인
$ redis-cli -h <endpoint> -p <port> -a <password> # redis cloud 접속
참고
728x90
'Research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_index로 가지고 놀기 (0) | 2023.03.09 |
---|---|
Postgres_쿼리 실행 계획 분석 (0) | 2023.03.07 |
nestjs_cache-manager로 redis 사용하기 (0) | 2023.02.27 |
DB_Redis 설치 및 명령어 Cheatsheet(Mac OS) (0) | 2023.02.27 |
DB의 인덱스란 (0) | 2023.02.26 |
댓글